|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
|
106 |
한반도의 역사와 시간은 거꾸로 흘러가는 듯합니다. 국제적으로도 우크라 분쟁이 터진 지 100일을 훌쩍 넘기면서 지난 달 보내드린 Atlantic Council의… |
이래경 | 2022-06-16 |
|
105 |
미국은 러시아와 세 가지의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중요도가 높아지는 순서와 미국주도의 세계질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 |
이래경 | 2022-05-14 |
|
104 |
안녕하신지요? 2022년 들어선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낮기온이 27-8도를 오르내리는 5월의 중순입니다. 우크라 분쟁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 |
이래경 | 2022-05-14 |
|
103 |
이라크 전쟁을 위해 정치 로비를 하고 중동에서 20년 동안 진행된 대학살을 확고하게 지지했던 조 바이든이 블라디미르 푸틴을 전범으로 낙인… |
이래경 | 2022-04-19 |
|
102 |
무탈하신지요? 문밖의 산책길에는 온갖 봄꽃들이 만발하였습니다. 기후변화 탓인지 계절의 여왕이 5월에서 4월로 이사온 느낌을 받습니다. 현재 진행 … |
이래경 | 2022-04-14 |
|
101 |
강정구교수 환구시보 보도 번역 이번 칼럼은 강정구 동국대 명예교수가 환구시보의 사설을 맛깔나게 번역한 내용으로 중국의 혁신적 정치제도가 수명… |
이래경 | 2022-03-14 |
|
100 |
안녕하신지요? 억장이 무너지는 무심한 세월에 건강부터 챙겨야 할 듯 싶습니다. 우리네 시선이 온통 국내 대선과 우크라 전쟁에 몰려있던 와중에, 중… |
이래경 | 2022-03-14 |
|
99 |
아래의 칼럼은 미국 군사전략가가 우크라 상황이 전쟁으로 전개되기 이전인 1월 중순에 작성한 것이지만, 패권국가로서 미국이 전세계의 질서를 자신만의 역량과… |
이래경 | 2022-03-13 |
|
98 |
한민족 수천 년의 역사에서 위기의 순간마다, 무지랭이 백성들이 일어났고 밑바닥으로부터 민중들이 투쟁하였으며, 희생을 마다 않고 시민들이 광장에 모여 외쳐… |
이래경 | 2022-03-01 |
|
97 |
우크라이나 사태 연속칼럼(3~4) 세번째 글은 미국의 반전평화운동의 상징이자 유명한 여성운동가이며 Pink-Code의 창립자인 Medea Benjamin… |
이래경 | 2022-02-15 |
|
96 |
우크라이나 사태 연속칼럼(1~2) 안녕하신지요? 이제 대선도 20 여 일 남았습니다. 참으로 걱정과 기대가 교차합니다. 국… |
이래경 | 2022-02-14 |
|
95 |
4인전문가 “원자력은 비싸고 치명적인 기술” “새로운 세대의 원자력이 깨끗하고 안전하며 똑똑하고 저렴할 것이라는 메시지는 명백한 사… |
이래경 | 2022-02-05 |
|
94 |
‘日군사력 증강이 동북아 안정에 더 위험’ 번역의 변)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이라? 정말 황당무계(荒唐無稽)한 자들입니다. 전쟁 억지 수단… |
이래경 | 2022-01-25 |
|
93 |
이래경의 격동세계 지난해 말에 있었던 칠레 대선에서 30대 중반의 좌파연합 후보가 승리한 배경과 과정에 대하여 서방언론 매체 중에 그나마 양심적이… |
이래경 | 2022-01-19 |
|
92 |
안녕하신지요? 임인년 새해의 해솟음달 통신입니다. 지난 2-30년 간에 경제력의 위축과 군사개입의 패착(敗着)으로 미패권의 일방적 시대는 서서히 저… |
이래경 | 2022-01-16 |
|
91 |
바이든 아니라 유엔이 역할 해야"안녕하십니까"라는 인삿말이 예사로 들리지 않은 요즘입니다 - 무탈하신지요?이번 달의 주제는 지난 12월 9-10일 이틀 간 미국… |
이래경 | 2021-12-14 |
|
90 |
매달통신 ‘이래경의 격동세계’를 새롭게 시작하며 지난 10월26일 지난 5년여 기간을 지켜왔던 다른백년 이사장직에서 내려왔습… |
이래경 | 2021-11-15 |
|
89 |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연구교수를 지내고 칭화대와 후단대에서 선임연구원 활동을 하는 영국인 학자의 칼럼 소개합니다. 중국에서 진행되는 거대기술기업의 억압,… |
이래경 | 2021-10-16 |
|
88 |
시진핑의 ‘신 균부론’ 이번 매달통신의 주제는 최근 중국 지도부가 공식적으로 제기한 공동부유(Common Prosperity) 에 관한 것입니다. 지… |
이래경 | 2021-10-14 |
|
87 |
‘아프칸 상황과 이후’ (下) 미국인들은 수천 명의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이 탈레반의 집권에서 도피(逃避)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비행기에 … |
이래경 | 2021-09-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