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김원일 칼럼니스트
푸틴 대통령이 국가안보회의를 열고 한반도 정세 등을 논의했다고 타스통신이 17일 보도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대통령실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전화통화 다음 날인 16일 한반도 정세를 의제로 푸틴 대통령이 국가안보회의를 주재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그는 안보회의에서 어떤 논의가 구체적으로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회의에는 메드베데프 총리, 쇼이구 국방장관, 바이노 대통령 행정실장, 라브로프 외교장관, 콜로콜체프 내무장관, 나리슈킨 대외정보국장, 파트루셰프 국가안보회의 서기 등이 참석했다.
양국 대통령은 전화통화에서 한반도 상황과 양국 관계 현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푸틴-트럼프 간 통화 내용을 소개하면서 "북한과의 대화 개시와 접촉 구축을 지지한다는 견해를 밝혔으며 이와 관련한 정보와 제안들을 교환하기로 합의했다"고 소개했다.
한편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교차관은 전날 유엔본부에서 열린 '비확산 및 북한'을 주제로 한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 회의 결과에 대해 "미국의 입장에 북한에 대한 추가적 압박을 요구하는 강력한 요소가 다시 등장한 것은 슬픈 일"이라고 지적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전날 안보리 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에 안보리 결의 이상의 대북 압박 강화를 촉구하면서 러시아 정부에 북한 노동자 수용 중단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랴브코프 차관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든 미국이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는 일방 제재든, 어떤 제재 압박 조치도 성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미 오래전에 이 협박, 압박, 공갈, 전제조건 제기 등의 경쟁을 중단하고 정치적 해결의 실질적 모색으로 이행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방 고위 대표들의 입장에 압박의 논리가 지배적이란 느낌을 받았으며 이는 우려스런 신호이다. 러시아와 중국 양국이 공동으로 기울이는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대결적 악순환이 전개되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 그러한 사태 전개를 경계하며 그 결과를 저울질할 것을 촉구한다. 대안은 러시아와 중국이 함께 제안한 '로드맵'에 포함돼 있다"고 촉구했다.
같은 러시아 외교부의 모르굴로프 차관도 "대북 제재 압박이 북한을 경제적으로 고사시킬 수 있는 '레드라인'에 근접해 가고 있다. 러시아는 그러한 제재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이는 비건설적이라고 판단한다. 제재와 압박만으로는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이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제재로 우선하여 피해를 당하는 것은 일반 국민들이라는 인도주의적인 측면이 있는 바, 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표명했다. 또한 모르굴로프는 시아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에 따라 북한 노동자 이용을 점진적으로 중단하겠지만, 그들을 즉각적으로 추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北, 핵보유국지위 인정해야 美와 대화” (2017.12.6.)
방북 러대표단 전해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6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