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2일 열리는 제1회 위안부기림 평화마라톤대회를 뉴저지의 유력지가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더 레코드(The Rekord)지는 30일 “버겐카운티는 1932년부터 1945년 사이에 일본군의 성노예로 끌려간 아시아 여성들을 기리는 두 개 기림비의 안식처”라면서 “위안부성노예에 관한 역사를 일깨우기 위해 두 기림비 구간을 달리는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고 소개했다.
대회는 버겐카운티 청사가 있는 해켄섹의 위안부기림비에서 2일 오전 10시에 출발, 팰리세이즈팍(팰팍)의 1호 위안부기림비까지 5마일(약 8km) 구간을 달리는 레이스로 아시안 최초의 대륙횡단마라톤으로 잘 알려진 권이주 울트라마라토너를 비롯한 150명의 시민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장기봉 팰팍한인회장은 레코드지와의 인터뷰에서 “2차대전에서 일본제국주의 군대가 저지른 짓을 모두가 알아야 한다”면서 “위안부기림 마라톤은 일본이 피해여성들에게 진실한 사과를 할 때까지 매년 대회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엔 글렌록 쥬이시센터의 랍비 닐 토우 등 유대계 인사들이 한인사회 지도자들과 함께 자리 해 ‘위안부 성노예 역사’에 대한 굳건한 연대를 과시할 예정이다.
토우 랍비는 “이 문제들은 결코 유쾌하지 않은 과거이지만 우리가 배워야만 하는 역사이다. 이같은 과거들은 후대를 위한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레코드지는 2차대전 중 성노예로 끌려간 여성들은 한국을 비롯, 중국 태국 베트남 등 일본제국주의가 침략한 나라들에서 20여만명에 달하며 이중 극소수가 살아남았다고 지적했다. 최근 피해 여성 일부가 버겐카운티를 방문해 납치돼 성노예 생활을 했던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팰팍의 제이슨 김 시의원은 “팰팍 도서관앞에 세워진 기림비는 위안부 역사를 시민들에게 교육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면서 “이번 마라톤대회는 더 많은 사람들이 기림비의 의미를 알고 위안부피해자가 어떤 일을 당했는지, 어떠한 전쟁도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레코드지는 위안부성노예의 역사는 일본의 우파정치인들과 일부 지지자들이 부인하고 있지만 1993년 당시 고노 요헤이 수상은 위안부피해여성들에 대한 사과를 표명하는 ‘고노 담화’를 발표했다고 소개했다.
피해여성들은 의회 차원의 공식 사과를 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의 우파정치인들은 여성들을 강제로 성노예로 삼은 증거가 없으며 이들이 돈을 받고 몸을 판 매춘부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마라톤 대회장엔 팰팍의 위안부기림비 동판을 디자인한 위안부초상화가 스티븐 카발로 작가가 그동안 만난 위안부할머니들의 사진들을 전시할 예정이다.
뉴욕=노창현특파원
newsroh@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