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 12m 거대한 태양구조물 제야의 종 행사

서울시가 12월 31일 밤 11시부터 2024년 1월 1일 새벽1시까지, 보신각~세종대로에서 2023 제야(除夜)의 종·새해맞이 카운트다운 행사를 개최한다. 길었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마스크 없이’ 맞이하는 새해맞이 행사인 만큼,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마련된다.
먼저 보신각에서 세종대로로 이어지는 약 400m 거리에서 사전공연, 거리공연(퍼레이드), 새해맞이 카운트다운과 새해축하공연이 펼쳐진다.
보신각 타종 전, 약 40분간(23:00~23:40) 사전공연과 거리공연(퍼레이드)을 통해 새해맞이의 흥겨운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사전공연은 보신각 앞에 설치된 특설무대에서 퓨전 국악그룹 ‘S.O.S(Seasonof Soul)’이 출연, 가야금과 대금, 바이올린, 판소리가 어우러진 무대를 선보인다.
거리공연(퍼레이드)은 보신각~세종대로까지 이어지는 400m 구간에서 메시지 깃발 퍼포먼스, 탈놀이와 북청사자놀음, 농악놀이패 공연을 한다. 메시지 깃발 퍼포먼스는 서울의 새로운 브랜드인 ‘서울 마이 소울(Seoul my Soul)’과 ‘서울윈터페스타(서울윈타)’의 로고를 깃발에 담아 화려한 군무(群舞)를 펼칠 예정이다.
탈놀이와 북청사자놀음은 전통연희 전문단체 ‘샘도내기’가 우리 전통의 ‘봉산탈춤’과 ‘북청사자놀이’를 선보인다. 농악놀이패 공연에는 전국농악연합회가 시민들과 한바탕 농악놀음을 펼친다.
올해 보신각 타종은 시민들이 직접 추천한 시민대표 등 ‘올해의 얼굴’ 18명의 인사가 선정됐다. 서현역 ‘묻지마 칼부림’ 피해자들을 구한 18세 의인(義人) 윤도일 씨, 매장밖에서 쓰러져 있는 홀몸노인 생명을 구하고 사비로 병원비를 지원한 김민영 씨등 우리 사회 가까운 곳에서 활약한 의인들이 ‘올해의 얼굴’로 선정됐다.
새해를 알리는 보신각 종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면, 세종대로에서 ‘자정의 태양’이 떠오른다. 자정의 태양은 지름 12m 규모의 거대한 ‘태양’ 구조물로, 어둠이 걷히고 새해가 떠오르는 여명(黎明)의 극적인 순간을 연출할 예정이다. 서울에서떠오른‘세상에서 가장 빠른 새해’의 장면을 통해 서울이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 세계로 전파한다.
이어 세종대로 카운트다운무대에서 본격적인 새해 축하 공연이 시작된다. 새해 축하 공연무대에는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 제로베이스원, 엔하이픈, 더보이즈, 오마이걸이 흥겨운 ‘케이댄스’와 ‘케이팝’으로 새해를 힘차게 열어나간다.
공연은 별도의 신청 없이 당일 현장에서 자유롭게 관람 가능하며 MBC-TV <가요대제전>을 통해 방송으로도 시청할 수 있다.
서울시는 안전한 행사진행을 위해 서울시 및 종로구, 교통관리요원 및 안전관리요원 등 총 1,100여명을 투입한다. 경찰·소방 등 유관기관에서도 별도 인력을 지원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보신각~세종대로 구간엔 응급 의료 인력이 상주하는 현장 안내부스 9동, 추위를 피해갈 수 있도록 한파쉼터 6동을 설치한다. 자세한 부스 위치는 서울윈터페스타 누리집(www.winta.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제야의 종·새해맞이 카운트다운’ 행사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보신각 이외의 장소에서도 편리하게 관람할수 있도록 DDP, 세종대로에서 3원 생중계를 진행하며 ‘라이브서울’을 통해서도 생중계 된다.
또한 서울경제진흥원이(SBA) 주최하는 ‘서울콘(Seoul Con)’과 연계하여 서울콘에 참여하는 50여개국 인플루언서 3천여 팀이 서울의 새해맞이 순간을 자신의 채널을 통해 전 세계로 생중계할 예정이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올해 새해맞이 행사는 ‘글로벌 문화발신지’ 서울의 위상에 걸맞게 전 세계인이 즐길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준비했다”며 “현장을 찾는 모든 분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행사를 즐길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 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서울윈터페스타’ 15일 광화문일대 점등 (2023.12.14.)
38일간 화려한 빛 비춘다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11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