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4월07일, AM 04:27:39 파리 : 4월07일, AM 11:27:39 서울 : 4월07일, PM 06:27:39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꼬리뉴스
·꼬리뉴스 (11942)
·뉴스로 창(窓) (273)
·뉴스로TV (127)
꼬리뉴스
육하원칙(六何原則)?역(逆)피라미드 형식의 스트레이트 뉴스? 정형화, 제도화된 뉴스만 뉴스가 아니다. 뉴스뒤의 뉴스, 뉴스속의 뉴스를 읽자. 뉴스로에선 "꼬리뉴스"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일선에서 취재한 기자들이 전하는 생생한 뒷 이야기, 기감 없는 에피소드, 촌철살인의 한마디까지, 뉴스로 독자들은 정규뉴스 바로 뒤에 물리는 꼬리뉴스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틀에 박힌 뉴스는 거부합니다. 오직 뉴스로만이 가능한 꼬리뉴스에서 뉴스의 새로운 멋과 맛을 느끼십시오.

총 게시물 11,942건, 최근 1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日, 위안부희생자들 인권 계속 침해” UN인권위

글쓴이 : 임지환 날짜 : 2014-07-29 (화) 14:11:12
 
글로브앤메일 등 외신들 위안부 이슈 주목

UN 인권위가 일본의 일군강제동원위안부에 대한 사과(謝過)와 보상(報償)을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 이를 토픽스 등 외신들이 크게 주목하고 나섰다.

27일 외신전문사이트 뉴스프로에 따르면 외신들은 유엔이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성노예(Sex Slave)’를 기사 제목에 인용하며 일본의 책임있는 범죄인정과 사과, 보상은 물론, 책임자들을 기소하고 유죄가 밝혀질 경우 처벌할 것을 요구하는 인권위의 발언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

미국 최대의 웹커뮤니티인 토픽스는 캐나다에 기반을 두고 있는 ‘더 글로브 앤 메일’의 ‘UN, 일본에 이차대전 성노예에 사과와 보상 요구’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UN 인권위원회가 일본에 전쟁 성노예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보장하고 피해자 여성들에게 공개적인 사과와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고 전했다.

약 20만 명이 강제동원된 것으로 추정한 이 기사는 유엔 인권위원회가 피해자들이 일본 법원에 제기한 배상 소송들이 공소시효를 이유로 모두 기각됐으며 일본은 희생자들의 인권을 계속해서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한 사실을 덧붙였다.

이어 유엔 인권위원회가 ‘전시 동안 일본군이 ‘위안부 여성들’에게 저지른 성노예혐의와 다른 인권침해 혐의가 효과적이고 독립적이며 공정하게 조사되고, 그 가해자들이 기소되고 유죄로 판명되면 처벌되도록 반드시 해야한다‘고 일본에 촉구했다고 전했다.

유엔 인권위의 일군강제동원위안부에 대한 이러한 강력한 입장은 동북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2차대전에서의 책임과 위안부 문제를 호도하려는 일본의 입지를 더욱 축소시킬 것으로 보인다.

한편 UAE의 영자신문 걸프투데이는 26일 ‘일본, 위안부에 대한 유엔의 요구 거부’라는 기사에서 “일본은 전시 군 매춘소에서 동양 여성들을 성노예로 강요한 것에 대한 책임을 인정할 것을 유엔 감시기구가 요구한 것에 대해 그럴 의무가 없다고 말하며 이를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걸프투데이는 “일본이 1993년 고노담화로 불리는 담화에서 이 문제에 대해 사과하고 강압적인 매춘제도에 대해 군대가 개입한 것은 인정했지만 정부가 연루됐음은 인정하지 않았다”면서 “아베 신조를 포함한 일부 정치적 우파들은 사창가가 직업 매춘부로 구성되었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고 일본의 역사왜곡(歷史歪曲)을 지적했다.

뉴욕=임지환특파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UN agency presses Japan for apology and compensation for WWII sex slavery
UN, 일본에 이차대전 성노예에 사과와 보상 요구

뉴스프로가 번역한 토픽스에 올라온 ‘The globe and mail’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elisabeth

A United Nations human rights agency is calling on Japan to guarantee independent investigations of wartime sex slavery and provide a public apology and compensation to the women who were victims.
UN의 인권위원회가 일본에 전쟁 성노예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보장하고 피해자 여성들에게 공개적인 사과와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Some historians estimate that as many as 200,000 so-called comfort women, many from China and South Korea, were forced into the Imperial Japanese Army’s brothels before an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일부 사학자들은 대부분이 중국과 한국 출신인 20만 여 명의 이른바 위안부들이 이차대전 이전과 전쟁 중에 일본제국군 위안소에 강제동원됐다고 추정한다.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which was reviewing the human-rights records of several countries, said on Thursday that all claims for reparation brought by victims before Japanese courts have been dismissed. It also said all complaints seeking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rosecutions have been rejected on grounds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여러 국가들의 인권기록을 검토 중인 UN 인권위원회는 목요일 피해자들이 일본 법원에 제기한 배상 소송들이 모두 기각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범죄자 수사 및 기소를 요구하는 모든 청원이 공소시효를 이유로 기각됐다고 언급했다.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this situation reflects ongoing violations of the victims’ human rights, as well as a lack of effective remedies available to them as victims of past human rights violations,” the panel said, citing articles of the U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reaty ratified by Japan.
“위원회는 이러한 상황이 과거 인권 침해의 희생자인 그들에게 제공된 효과적인 조치들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그 희생자들의 인권을 지금도 계속해서 침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생각한다”고 그 패널은 일본에 의해 비준된 UN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규약을 인용하여 말했다.

Last month, South Korea and China both protested against a review by Tokyo of a 1993 apology to the women, which found that Japan and South Korea had worked together on the wording of the apology. Nevertheless, officials from Prime Minister Abe on down have said Japan will not revise the statement.
지난달, 한국과 중국 양국은, 일본과 한국이 협력하여 그 문안을 작성했다고 밝혀진,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1993년의 사과문을 일본이 재검토한 것에 항의했다. 그렇지만, 아베 내각 이래로 관료들은 그 담화문을 수정하지 않겠다고 말해왔다.

Japan also said compensation for women forced to work in the brothels was settled by a 1965 treaty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South Korea. In 1995, Japan set up a fund to make payments to the women from private contributions, but South Korea has said that was not official and so not enough.
일본은 또한, 그 위안소에서 일하도록 강제된 여성들에 대한 보상이 한국과 외교관계를 확립한 1965년의 협정으로 해결되었다고 말했다. 1995년, 일본은 민간 기부금으로 그 여성들에게 보상하려 펀드를 만들었지만, 한국은 그것이 공식적이지 않아서 충분하지 않다고 말해왔다.

The UN committee on Thursday urged Japan to “ensure that all allegations of sexual slavery or other human rights violations perpetrated by Japanese military during wartime against the ‘comfort women’ are effectively, independently and impartially investigated and that perpetrators are prosecuted and, if found guilty, punished.”
목요일에 UN위원회는 “전시 동안 일본군에 의해 그 ‘위안부 여성들’에게 저질러진 성노예혐의와 다른 인권침해 혐의가 효과적이고 독립적이며 공정하게 조사되고, 그 가해자들이 기소되고 유죄로 판명되면 처벌되도록 반드시 해야한다”고 일본에 촉구했다.

The panel noted that Japan’s position was “contradictory”: it says the comfort women were generally recruited and transported through coercion, but they were not “forcibly deported.”
그 패널은 일본의 입장이 “모순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일본은 위안부들이 강압을 통해 모집되고 이동되어졌지만, “강제로 국외로 보내졌던”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But such acts carried out against the will of the victims meant Japan had a “direct legal responsibility,” said the committee, which is composed of 18 independent experts.
그러나 피해자들의 의지에 반해서 이뤄진 그런 행위는 일본이 “직접적인 법적 책임”을 갖고 있다는 의미라고 독립적인 전문가 18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위원회는 말했다.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about re-victimization of the former comfort women by attacks on their reputations, including some by public officials and some that are encouraged by the state party’s equivocal position,” the panel said.
그 패널은 “위원회는 또한 일부 공직자들과 정부 당국자들의 애매모호한 태도에 고무된 사람들이 위안부들의 명예를 훼손함으로써 발생하는 재희생자화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고 말한다.

The mayor of the Japanese city of Osaka said in May, 2013, that Japan’s system of military brothels was “necessary,” drawing outrage in China, where bitter memories of Japan’s wartime aggression run deep.
2013년 5월에 일본 오사카의 시장은 일본의 군 위안소 시스템이 “필요했다”고 말했고, 이것은 일본의 전시침략에 대한 아픈 기억을 갖고 있는 중국에서 분노를 가중시켰다.

The experts called for “a public apology and official recogni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Japan. Any attempts to defame victims or deny the events should be condemned, it added.
전문가들은 일본의 “공개적 사과와 책임에 대한 공식 인정”을 요구했다. 피해자들을 헐뜯거나 사건을 부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규탄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