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작성한 ‘위안부 보고서’의 일부 내용 철회를 요구한 일본 정부의 뻔뻔한 작태(作態)를 뉴욕 타임스도 주목했다.
뉴욕 타임스는 16일 “일본 정부가 근 20년 전에 작성된 유엔의 2차대전 매음굴(賣淫窟)에 강제 동원된 여성들에 관한 보고서의 일부 내용 철회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고 보도했다.
타임스는 “스가 요시히데(管義偉) 관방장관이 최근 보고서 저자인 라디카 쿠마라스와미 변호사에게 사토 구니(佐藤地) 외무성 인권·인도담당 대사가 찾아간 사실을 밝혔다”면서 “쿠마라스와미 변호사는 1996년 2차대전 일본군의 성노예에 관해 일본의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보고서를 작성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타임스는 “이 같은 요구는 일본에서 완곡하게 ‘위안부’로 불리는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국제적 평가에 반발하는 아베 정부의 우파 지지자들에 대한 주의를 기울인 결과”라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8월 메이저 진보매체인 아사히가 1980년대와 1990년대 전 일본군인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의 증언이 오보(誤報)임을 인정한 이후 이 같은 목소리가 강력해졌다고 덧붙였다.
요시다의 증언이 날조(捏造)됐다는 학자들의 주장과 관련, 아사히는 2000년 사망한 그의 증언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을 수 없다고 인정했으며 보수파들은 아사히의 철회가 ‘전시 성노예는 날조됐고 그들은 자의로 매음굴에서 일한 창녀에 불과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고 몰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타임스는 “많은 일본 주류 학자들과 비일본인 연구자들은 요시다의 증언이 여성들이 강제로 끌려갔다는 역사적 주요 증거는 아니라며 1990년대 들어 오랜 침묵을 깨고 자신들의 경험을 증언한 수많은 피해 여성들의 증언 등 다른 증거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증언들에 의거해 주류 학자들 대부분은 수만 명의 아시안 여성과 일부 네덜란드 여성들이 강제로 일본군 매음굴에 끌려간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보수파들은 이 여성들의 증언이 ‘삐딱하고 비현실적이며 증거가 부족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달 초 쿠마라스와미 변호사는 일본의 보수매체 요미우리와의 인터뷰에서 “아사히의 철회(撤回)가 유엔 보고서를 수정할 필요성을 느끼게 하지 않는다. 보고서는 수많은 ‘위안부 여성’들의 증언에 근거해 만들어졌으며 요시다의 증언은 보고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뉴욕=민병옥특파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Japan Rebuffed Over U.N. Report on Wartime Brothels
http://www.nytimes.com/2014/10/17/world/asia/japan-rebuffed-over-un-report-on-wartime-brothels.html?_r=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