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석학 노엄 촘스키 교수(매사추세츠 공대)가 글로리아 스타이넘을 비롯한 30명의 저명한 세계평화여성운동가 및 노벨상 수상자들이 참가하는 DMZ(비무장지대) 국제여성평화행진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냈다.
촘스키 교수는 20일 하버드대 한국학연구소 연구원이자 한국정책연구소 객원 연구원인 시몬 천 정치학 박사에게 이메일로 이번 ‘판문점 종단’ 행사에 대한 지지성명을 전달했다.
촘스키 교수는 성명에서 "한국의 극심한 갈등은 피해자들에게는 끔찍한 비극이며 세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어 왔다"면서 "국제평화운동가들의 용기 있고 신념에 찬 이 결정은 상처의 치유를 시작하고 평화롭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충분한 자격을 가진 한국인들에게 그 삶으로의 문을 열어줄 경이로운 노력"이라고 찬사를 보냈다.
시몬 천 박사는 "촘스키 교수의 메시지 속에 남북한의 갈등으로 인해 상처와 아픔을 겪는 피해자들에게 우리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평가했다.
천 박사는 "촘스키 교수뿐만 아니라 많은 국제학자와 시민단체들이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연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오바마 대통령에게 북한과 대화를 갖겠다는 선거공약을 환기시키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외교에 적극적으로 협력해줄 것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여성평화행진은 한반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도록 세계여성들이 힘을 모으자는 취지에서 세계적인 여성운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과 리마 보위, 메어리드 코리건 매과이어 등 두 명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등이 결성한 '위민 크로스 DMZ(Women Cross DMZ)' 운동이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12개국 30여명의 여성운동가들은 평양에서 국제평화회의를 열고 '세계여성평화군축의날'인 5월24일 북에서 남으로 비무장지대와 판문점을 지나 평화를 염원하는 도보행진을 벌인다.
뉴욕=노창현기자 newsroh@gmail.com
<꼬리뉴스>
노엄 촘스키교수는?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Avram Noam Chomsky)는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정치운동가, 아나키스트, 저술가이자 진보적 교수이다. 현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언어학과 교수이다.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만들어낸 학자로 유명하여 20세기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언어학자로 존경받고 있다. 그는 철학 분야에서 1950년대에 주류였던 B. F. 스키너의 언어행동을 연구 행동주의자들을 비판하여 인식의 혁명을 불러일으킨 인지과학의 선구자(先驅者)이기도 하다. 그의 자연주의적 언어학의 접근은 정신과 언어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1956년에 형식언어를 생성하는 형식 문법의 부류들 사이의 위계인 촘스키 위계를 만들었다. 그는 예술 및 인문학 인용 색인(A&HCI)에 의하면 1980년부터 1992년 사이에 촘스키는 생존해 있는 학자들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이고, 역대 인물 중 여덟 번째로 자주 인용되는 학자로 기록되어 있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부터 촘스키는 미디어 비평과 정치적 행동으로 인해 널리 알려지게 된다. 그의 정치적 행동과 비평은 특히 미국과 다른 정부간의 외교정책과 인권옹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참조 링크>
http://ko.wikipedia.org/wiki/%EB%85%B8%EC%97%84_%EC%B4%98%EC%8A%A4%ED%82%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