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는 1999년 개인 펜팔 사이트로 출발했다. 출범(出帆) 당시의 예상과 달리 이 사이트는 청소년 회원들의 열정적 참여로 성장했다.
사람들이 흔히 반크를 세계인에게 한국을 홍보하는 민간 외교단체로 떠올린다. 특히 TV 공익광고에 등장한 덕분에 반크는 한국에 대해 잘못 기술한 외국 교과서나 세계지도, 백과사전을 수정시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반크는 한국을 세계에 알리려는 목적으로 시작한 단체가 아니다. 내가 생각한 반크의 진정한 평가는 다른 관점에 있다. 남들과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자신만의 남다른 탁월함이 있음에도 부족하고 사회적 기대와 요구에 종속적이었던 한국의 청소년들과 청년들의 평범한 삶이 반크 활동을 통해 삶의 전환점을 만나게 된다는 것에 있다.
내가 바로 그 산증인이다. 우연한 계기로 시작한 반크 활동을 통해 나는 나만의 어떤 특별한 가치를 발견하게 되었고, 그 가치에 내 인생 전부를 걸었다. 그리고 지금은 나 스스로의 삶 뿐만 아니라 다른 누군가의 행동의 변화까지 연결되는 삶, 살아 숨쉬는 생명력 있는 삶을 살며 누군가를 위한 길을 만드는 삶을 살고 있다.
나는 또한 반크 활동을 통해 한국의 청년들이 자신들이 갖고 있는 가치를 발견하면 자신의 인생을 넘어 대한민국을 변화시키는 또다른 기회로 확장(擴張)이 되어 대한민국 미래까지 바꿀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를 시작한 지 10년이 조금 넘었다. 반크 사이트를 처음 만들었을 때 나는 일본어를 전공하는 야간대학 4학년이었다. 우연히 들은 한 교양과목이 내 인생을 바꾸었다.
나는 지난 몇 년간 공무원 연수원, 군부대, 교육청, 교육기관으로부터 특강 제의를 받아 약 5만명이 넘는 교사, 청소년, 대학생, 공무원, 군장병들에게 강의를 했다. 강의를 하다보니 청중들은 반크라는 단체보다는 반크를 처음 만든 나에 대해서 많이 궁금해했다.
그것이 내가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다. 나는 이 칼럼을 접하는 한국의 청소년들과 청년, 해외 동포들이 자신만의 가치를 발견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주인공으로 성장하길 바란다.
되돌아보면 10여년동안 반크를 하면서 출판사, 방송사 등 직장을 다섯번 옮겼다. 흔히 말하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려는 물결에 나도 휩쓸렸다. 2001년에는 내가 원하던 직장(방송사)에 취업했다. 반크를 운영중이어서 직장 상사가 없을 때 반크 업무를 했다.
어느날 여자 후배가 말했다. "선배는 왜 상사들이 자리를 비우면 업무시간에 다른 일을 해요?" 그 말을 듣고 1주일 동안 멍했다. 나는 먹고살기 위해서 일한다고 생각했고, 일을 하면서도 딴전 부리는 것을 합리화하고 있었다.
좋아서 하는 '다른 일'이라면, 아예 전업(專業)으로 해보자고 결심했다. 물론 집에서는 반대했다. 결혼을 앞두고 있었으니까 더더욱. 하지만 설득했다. 결국 직장을 그만두고 반크에 매진했다.
대학 4학년 무렵. 외환위기 때문에 온통 난리였다. 바로 앞 학번(92학번) 선배들이 취업에서 전멸했다. 그때 내가 다니던 야간대학은 남들이 말하는 명문대학과는 거리가 멀었다. 낮에는 어느 빌딩 관리실에서 일했다. 35만원을 받았고, 그 돈으로 학교를 다녔다. 그런 상황에서 취업이 어렵다고 하니 절망감이 들었다. 나는 대학 졸업 이후가 두려웠다.
토익공부가 유일한 안식처(安息處)였다. 빌딩에서 청소를 하면서도 죽어라 토익공부를 했다. 매달 토익점수가 10점씩 오르면 그게 내 인생의 행복그래프라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나는 신데렐라를 꿈꾸었다.
빌딩을 성실히 관리하면, 이 빌딩에 있는 한 회사 CEO가 그 성실성을 높이 사서 취업시켜주지 않을까. 그런데 사람들은 왜 나를 알아주지 않을까. 명문대를 다녔으면 달랐을까. 다른 사람 탓만 하며 신데렐라를 꿈꾸었다. 토익점수 그래프를 보면서. ^^
그때 교양 수업 가운데 인터넷 활용과목이 있었다. 그 수업이 삶을 바꾸었다. 한 학기동안 홈페이지를 만드는게 과제였다. 어떤 홈페이지를 만들까 궁리하다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외국의 동아시아학과나 한국학과를 찾았다. 그리고 전자우편을 썼다. '한국과 한국어에 관한 정보가 없으면 연락을 달라. 내가 검색해 정보를 드리겠다. 그 학과 학생 중에 한국 친구를 사귀고 싶은 학생이 있으면 알려달라. 1대1로 소개하겠다.'
이런 편지를 전 세계 대학 1000여군데에 보냈다. 그랬더니 답신이 100통 가량 왔다. 외국의 어느 국립대 한국어과 교수는 학과 학생들이 온라인 자매결연(姉妹結緣)을 맺고 싶어한다면서 대학생 100여명의 프로필을 보내왔다. 외국 국립대 교수가 평범한 야간 대학생에게 말이다.
내 주변 친구들이 환호했다. 나를 통해 외국학생과 교류할 수 있었으니까. 그때만 해도 나는 이 사이트가 내 취업에 도움이 되겠구나 하는 생각만 했다. 금세 히트하고 내가 대학생 스타가 되겠구나 싶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방문객 숫자가 순식간에 늘지 않았다.
안되나보다 하고 있는데, 갑자기 수천명이 몰려왔다. 대부분 청소년이었다. ‘뭔 일이래?’하고 있는데, 알고 보니 2002년 한일월드컵때 영어교사가 ‘해외펜팔을 통해 자기 고장과 한국을 알려라’하는 수행평가 숙제를 내준 것이었다. 그때 포털에서 ‘해외 펜팔’이라고 입력하면 반크가 맨 앞에 나와 있었기 때문에 수많은 청소년이 몰려온 것이다.
나는 졸지에 수행평가 숙제 ‘마담뚜’처럼 되어버렸다. 어떡하나 싶었다. 내가 알고 있는 외국 학생은 주로 대학생인데…. 연결을 안해주면 서비스가 엉망이라고 여기고 항의할텐데…. 그래서 나라별로 펜팔사이트에 가서 프로필을 긁어왔다. 일종의 도둑질을 해온 셈이다. 나의 도둑질 덕분에 청소년들이 외국 펜팔과 편지를 주고받게 되었고 아이들이 매우 신기해했다.
일이 또 늘었다. 아이들이 ‘영어가 서투르니 번역서비스를 해달라’고 영어 도움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토익 공부를 한 정도면 할 수 있는 단순한 영어였다. 주변 대학생들과 함께 영어 번역 서비스를 했다. 청소년이 펜팔을 신청하고 한글로 편지를 쓰면 대학생들이 번역해주는 소박한 사이트가 반크였다. 반크는 청소년들에게 인기있는 펜팔사이트로 등장했다.
이때부터 나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토익 점수에 목매던 내가 당장 부족한 영어실력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로 관심이 바뀌었다. 나의 작은 노력으로 아이들이 전 세계와 소통할 수 있다니 기뻤다.
나는 빌딩청소를 하면서 어느 CEO가 내 모습을 봐주기를 더 이상 바라지 않게 되었다. 수많은 아이들이 교류하는 모습을 보면서 60억의 눈으로 한국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